2009년 12월 27일 일요일

디지털출판산업 동향과 전자책 서비스 모델

필자가 지난 11월 20일 주국제출판포럼에서 발표한 '디지털출판산업 동향과 서비스모델'에 대한 발표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데이터로 업데이트한 프레젠테이션 자료입니다. 또한 슬라이드 뒤에 이어지는 내용은 발표 원고를 기초로 작성한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전자책 시장의 전망

작년에 전자책 단말기인 아마존의 킨들(Kindle)과 소니의 PRS가 출시되어 독자들이 큰 관심을 보이면서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오랫동안의 정체기를 걷던 디지털출판산업이 향후 1~2년 내에 큰 도약의 발판을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그 증거로 Kindle의 경우 100만대 이상의 국내 판매와 더불어 약 100여 나라에 Kindle 판매와 전자책 서비스를 개시하게 되었고, 지난 5월 아마존의 실적 데이터에 따르면 Kindle edition이 있는 전자책들은 아마존 전체 도서매출의 35%까지 되었다고 한다. 많은 국내외 출판 전문가들은 Kindle이 처음 출시될 때만 해도 출판시장에 이렇게 큰 반향을 일으킬 것으로 예측하지 못했으나, 최근 국제디지털출판포럼(IDPF)의 통계에서 나타나듯이 미국 내에 2009년 2분기 전자책 도매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 300% 이상 성장한 것을 보면서 전자책산업이 향후 몇 년 내에 출판산업과 더불어 교육산업 전반에도 엄청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출판산업의 불황과 더불어 북토피아 사태 등으로 인해서 아직까지 출판계에서는 전자책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만연해 있었으나, 그 동안 도서관 등 B2B 시장을 중심으로 북토피아, 교보 등 일부 업체가 전자책 산업을 주도했다면 이제는 대형 출판사와 예스24, 인터파크, 알라딘, 북센 등 출판유통회사는 물론 이동통신사와 언론사들도 새롭게 전자책사업에 뛰어들었고, 단말기 제조 업체인 삼성과 레인콤 등도 아마존과 소니처럼 내년 상반기 새로운 단말기의 출시와 더불어 전자책을 직접 판매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전자책 서비스 모델과 이슈

► 온라인 소매점의 전자책 서비스
아마존의 경우 기존에 운영 중인 세계 최대의 온라인 서점의 판매 채널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은 방대한 디지털콘텐츠(약27만종) 자원을 기반으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있는 Kindle 전용 단말기와 연계하여 전자책을 저가(신간$9.99)에 공급하는 ‘단말기 판매 연계형 비즈니스 모델을 갖고 매우 성공적인 전자책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전자책의 지나친 할인판매, 비표준화된 파일포맷과 독점적인 전용 단말기 사용 등으로 출판업계의 많은 비판도 받고 있다. 아마존 이외에 대형 서점 체인인 반스앤노블스도 최근 e-잉크 뿐만 아니라 작지만 컬러 LCD 스크린이 장착된 단말기 Nook를 출시하여 자체 온라인 서점과 약 3,000여 개의 오프라인 및 대학 구내 서점을 통해서 단말기 판매와 전자책 서비스를 본격 개시했다. 아마존과 좀 다른 점은 자체 파일 포맷 보다는 대부분의 출판사들이 채택하고 있는 표준 포맷(EPUB)을 채택함으로써 Nook 뿐만 아니라 다양한 단말기와 콘텐츠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교보문고, 인터파크 등 대형 온라인 서점들이 Kindle 스토어와 같은 전자책 사업 모델을 위하여 단말기 개발과 더불어 콘텐츠(EPUB)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국내 전자책과 단말기 수요 시장 규모로 볼 때 아마존과 같은 전자책 서비스 모델은 국내에서는 성공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특정한 단말기로 서비스를 제한하는 모델 보다는 오픈 포맷의 콘텐츠와 범용 단말기 중심의 서비스 모델이 현실적인 것으로 보이며, 전자책 판매 가격의 경우도 국내에서는 정가제를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아마존과 같은 지나친 할인 판매 등은 출판사들의 반발을 가져 올 것이다.
► Google Book Search의 전자책 서비스
지난 2004년 시작된‘Google Book Search Project’는 700만 종 목표로 대학도서관과 출판사를 중심으로 도서 디지타이징 작업을 진행하여 구글 사이트에서 도서검색, 미리보기 등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출판사, 서점, 도서관 사이트와 연계(API)하여 다양한 도서 정보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도서검색과 연계된 전자책 서비스를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소니의 eBook Store를 포함한 전자책 서점과 단말기 회사들에게 약 50만종의 저자권이 만료된(Public Domain) 전자책을 자유롭게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서비스하고 있으며, 또한 미국의 출판사들과 저자들은 3년간 구글과 저작권 침해 공방(Google Book Settlement)을 2008년 10월 합의로 해결하여 향후 구글이 전자책을 서비스할 경우 수익정산 및 분배 (구글 37% : 출판사/저자 63%)와 출판사가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것 등에 대해서 일정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또한 한글 도서에 관련해서는 도서정보(Metadata)만 서비스하고 있지만 본문검색과 전자책 서비스,’Google Edition’을 계획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네이버, 다음 등 검색 포털 사이트들이 이미 구글과 같이 도서검색 및 미리보기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종이책 판매와 연계하는 서비스하고 있지만 이미 디지타이징된 파일을 갖고 있기 때문에 향후 전자책 서비스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구글과 마찬가지로 국내 출판사나 저자들과의 저작권 및 서비스 모델에 따른 전송권에 대한 문제를 선결해야 할 것이다.
►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이미 전 세계적으로 공공 도서관과 대학도서관에서 PC를 통한 온라인 전자책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었으나 최근 많은 전자책 단말기들이 판매되면서 도서관으로부터 온라인으로 전자책을 대여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볼 수 있게 서비스하는 도서관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약 8,500개의 도서관에 전자책을 공급하고 있는 오버드라이브(OverDrive)라는 전자책 도매상은 출판사들의 전자책 콘텐츠를 Hosting하면서 종이책 대여와는 다르게 도서관에서 전자책이 대여될 때마다 비용을 정산해서 저작권료를 출판사나 저자에게 지불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오래 전부터 지역 도서관에서 시민들에게 전자책을 서비스하고 있으나 큰 문제는 국내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형태로서 해외의 도서관은 위에서 설명했듯이 전자책을 자체 도서관 사이트에 설치해서 서비스되는 것이 아니라 출판사가 직접 또는 지정한 Hosting 업체를 통해서 서비스 받아야 하지만 국내의 거의 모든 도서관은 전자책을 3copies~5copies 정도 구매하여 도서관 자체 사이트에서 평생 서비스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물론 국내 도서관은 전자책을 구매 자산으로 편입시켜야 전자책의 예산 확보가 가능하다고 이야기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저작권이 제대로 보호 되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도서관이 아닌 일반 업체에서도 이제 전자책을 대여해 주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대여 사업 모델이 대중화 될 것을 대비하여 이런 분야의 서비스 형태와 저작권 보호를 위한 출판계의 준비가 시급하다고 본다.

전자출판에 대한 새로운 인식 전환

우리가 이 시점에서 전자책의 서비스 모델도 중요하지만 보다 더욱 중요하게 생각할 점은 디지털출판 시대의 도래와 새로운 출판산업 페러다임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아직도 전자책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많으며, 디지털출판산업에 뛰어들 준비도 안되어 있다고 본다. 작년 프랑크프르트 도서전시회에서 약 1,000명의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디지털출판 관련한 설문조사가 있었으며, Frankfurt Book Fair Newsletter를 통해서 그 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설문 응답자의 40%는 디지털콘텐츠가 2018년부터 인쇄된 책의 매출을 넘어 설 것으로 답했으며, 매출은 2018년에 약 25억불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에 응답자의 33%는 디지털콘텐츠가 전통적인 인쇄 책을 앞설 수 없을 것이며, 매출 또한 인쇄된 책을 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설문 조사에 나타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디지털콘텐츠 특히 전자책이 출판산업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은 모두 동의하고 있으며 어떤 형태로 얼마나 빨리 변화가 올 것이라는 데는 다소 의견 차이가 있을 뿐이다. 결론적으로 국내 출판계가 새로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준비를 시작할 때가 온 것이다.

댓글 없음: